728x90
반응형

전체 글 4040

속담과 관련된 자료 1

속담과 관련된 소중한 참고자료 1, 격언 (格言) 인생을 현명하게 살아가는 데 도움을 주는 가르침 ·훈계. 금언(金言) 혹은 잠언(箴言)이라고도 한다. 비슷한 말에 속담이 있는데, 이것은 서민들 사이에 유포되어 있는 경구(警句) ·풍차(諷刺) ·교훈 ·익살 등을 짤막하게 나타낸 말이다. 인간의 도덕률 ·행동규범에 관하여 만인이 공감할 수 있도록 짧게 표현한 격언은 성현(聖賢)의 말씀 중에서 많이 발견된다. 예를 들면 《전국책(戰國策)》의 “많이 달리는 자는 많이 넘어진다”, J.S. 밀의 “행복을 얻는 유일한 길은 행복을 잊고 행복 이외의 것을 인생의 목적으로 삼는 데 있다”, 노자의 “대기만성(大器晩成)”, 예수의 “칼을 쓰는 자 칼로 망한다” 등은 잘 알려진 격언이다. 2, 경구 (警句) 상식적으로는..

자료와 교육 2021.09.30

뇌졸증/걱정 끝

단 1회 복용으로 평생 뇌졸중 끝 시기 : 5월 말경이 가장 좋음 뇌졸중으로 쓰러지지 않는 비법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중풍이라고 부릅니다) 뇌혈관이 막히거나 [뇌경색]. 또는 그 반대로 뇌혈관이 터져 [뇌출혈], 뇌손상을 일으키고 따라서 뇌 기능이 저하되어 갑자기 쓰러지거나,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본의 구니와께 시에 있는 양로원인 게이쇼엔에서 여러 노인들이 쓰고 있던 비법이 세상에 알려져서 일본 내에서 선풍적인 유행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미 수 천 명의 사람들이 실험해본 결과, 이 비법을 사용한 사람은 한 사람도 뇌졸중으로 쓰러진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신비의 약 만드는 비법 ▲ 매실 (청매실에 한함) ▲ 머구 (머위) ▲ 계란(유정란) 위 세가지 재료를 준비한다. ..

100세 시대 2021.09.30

국~궤의 우리말

국말이 : 국에 만 밥이나 국수. 국수 버섯 : 싸리버섯과의 버섯. 숲 속에서 남. 높이 3∼6cm. 누런 자실체가 국수처럼 남. 국수원밥숭이 : 흰 밥과 국수를 넣고 끓인 떡국. 국숫분/국숫분통 : 국수를 만들 때 반죽을 넣은 통으로 밑에 구멍이 송송 뚫려 국수가 빠져나옴. 국으로 : 제 생긴 그대로. 잠자코. 국자 가리비 : 가리비과의 바닷조개. 패각은 부채모양. 국화반자 : 국화무늬를 새긴 반자. *반자 : 방이나 마루의 천장을 종이나 나무로 평평하게 만든 시설. 군것지다 : 없어도 좋을 것이 쓸 데 없이 있다. 군눈 : ① 보지 않아도 좋을 것을 보는 눈. ② 쓸데없는 짓. 군눈뜨다 : ① 아니하여도 좋을 짓에 눈을 뜨게 되다. ②외도(外道)에 눈을 뜨다. 군단지럽다 : 마음과 행실이 비루하고 추..

자료와 교육 2021.09.30

복방 약차와 효능/조리법 3

21. 옥수수수염차 옥수수수염에는 소변을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부종을 제거하는 특효약으로 사용하여 왔다. 【효능】 고혈압, 심혈관 질병, 부종에 좋다. 【끓이는 법】 재료- 옥수수수염 20g, 결명자 10g, 감국화 5g, 물 600ml ① 옥수수수염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 후 그늘에 말린다. ② 차관에 각 재료를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③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은근하게 오랫동안 끓인다. ④ 건더기는 체로 걸러 내고 국물만 따라 내어 식힌 후 냉장고에 넣어 두고 수시로 마신다. 22, 인삼 구기차 더위로 인해 체력이 떨어졌을 때 체력 보강에 가장 좋은 약차이다. 구기자는 강장 강정 의 묘약으로 알려져 있고, 인삼은 흥분 작용을 갖고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해준다. 【효능】 체력 ..

동시/꽃밭

자연을 사랑합시다. 꽃밭 동시/썬라이즈 쨍하고 햇살이 꽃밭으로 나들이 왔어요. 신이 난 키다리 맨드라미는 빨간 입술 내밀어 햇살에 입 맞추고요. 밉다고 입을 삐죽인 분꽃은 까만 씨 하나 둘 셋 뱉어놓고요. 구경하다 웃다가 씨방 터트린 봉선화는 부끄러워 또르르 씨방 말아 올렸지요. 꿀 얻으러 꽃밭 찾아온 꿀벌은 신나게 숨바꼭질하느라 정신없고요. 난쟁이 채송화는 햇살 안고 낮잠만 자네요. 엉큼한 수나비는 살금살금 맨드라미 입술 더듬다가 앗, 뜨거워 화다닥 무궁화 꽃으로 달아납니다. 나이가 들수록 동심이 그립다. 자연사랑/어린이 사랑 나팔꽃 맨드라미 자연사랑은 아이들 미래이자 희망입니다.

2021.09.29

2천 불의 빚/따뜻한 하루

2천 불의 빚/따뜻한 하루 미국의 보스턴시에 살던 청년 '스트로사'는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고자 했지만 수중에 가진 돈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고민 끝에 사업 자금을 위해서 '바턴'이라는 부자를 찾아가 2천 불을 빌려달라고 했습니다. 갑자기 찾아온 청년이 2천 불을 빌려달라는 말에 바턴은 황당하고 어이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청년에게는 담보로 내놓을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었고 가진 것은 오직 패기와 열정뿐이었습니다. 하지만, 바턴은 그 청년을 믿어 보기로 했습니다. 주변 사람들은 만류했지만, 장래가 촉망되는 젊은이에게 투자하는 마음으로 선뜻 무담보로 2천 불을 빌려준 것입니다. 그리고 바턴의 무모한 선택은 틀리지 않았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스트로 사는 사업에 크게 성공하였고 이자와 함께 부채도 갚을 수..

서로 이야기 2021.09.29

새들아, 날아라!

어린이 여러분! 자연사랑은 나라사랑입니다. 자연사랑/나라사랑 자연사랑/나라사랑 어린이 사랑이 나라의 미래입니다. 나라사랑/자연사랑 자연사랑/나라사랑 오리들 소풍가는 날, 먹이 물고온 딱다구리 나라사랑 자연사랑이 아이들 미래입니다. 자연사랑이 아이들 희망입니다. 먹어야 산다. 뻐꾸가는 남에 둥지에 알을 낳는다. 멋진 키스 이건 내 먹이야! 새들의 왕 독수리 위장한 보람으로 물총새를 찍었다. 순서가 바꾸었잖아! 아래 광안리 해수욕장 자연사랑은 아이들의 미래이며 희망입니다. 어린이 여러분! 새들처럼 맘껏 비상하세요.

이미지 세상 2021.09.29

구비문학 (口碑文學)/참고

구비문학 (口碑文學 - oral literature) 말로 된 문학을 의미하며, 기록문학과 대비되는 말. 구전 문학(口傳文學)이라고도 한다. 구비와 구전은 대체로 같은 뜻으로서 구전은 ‘말로 전함’을 뜻하나 구비는 ‘말로 된 비석’, 즉 비석에 새긴 것처럼 유형화(類型化)되어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말이라는 뜻이다. 구비문학을 유동 문학(流動文學) ·표박 문학(漂泊文學) ·적층 문학(積層文學)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러한 용어들은 계속 변하며, 그 변화가 누적되어 개별적인 작품이 존재하게 된다는 한 가지 특징을 지적하는 것으로서 구비문학을 대신할 수 있으나, 포괄적 의미로 쓰이기에는 부족하다. 구비문학을 민속학적 관점에서 다룬다면 민속 문학이라는 용어가 타당하나 문학 연구의 관점에서 다룬다면 민속 문학..

자료와 교육 2021.09.29

구의 순수 우리말

구의 순수 우리말 구가 마하다 : 곡식을 넣은 가마니를 법식에 맞추어 묶다. 구경 가마리 : 하는 짓이 우스워 남의 구경감이 되는 사람. 구기 : 죽, 기름, 술 따위를 풀 때 쓰는 국자보다 작은 기구. 구기박지르다 : 몹시 구기지르다. 구박 지르다. 구기지르다 : 함부로 비비어 구기다. 구김새 : 구김살이 진 정도나 모양. 구꿈 맞다 : 말이나 짓이 도무지 가당하지 아니하게 생뚱맞다. 구나방 : 언행이 모질고 사나운 사람의 별명. 구녕 살 : 소의 볼기에 붙은 기름기 많은 살. 구누름 : 자조적으로 욕을 해대며 중얼거리는 짓. 구눙 : 열두 거리 굿에 아홉 번째에 나오는 무당이 위하는 귀신의 하나. 구두덜거리다 : 못마땅하여서 혼자 군소리하다. 구두질 : 방고래에 모인 재를 구둣대로 쑤셔댐. *방고래/..

자료와 교육 2021.09.29

복방 약차와 효능/조리법 2

11. 생강 계피차 허약 체질로 인해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에게 효과적이다. 겨울철 감기 기운이 있거나 몸이 덜덜 떨릴 때 따끈하게 끓여 마신다. 【효능】 추위를 물리치고 땀이 나게 한다. 또한 구역질이 나거나 입맛이 변했을 때도 효과적이다. 【끓이는 법】 재료- 생강 80g, 통계피 20g, 물 800ml, 작 1/2큰술, 황설탕 4큰술 ① 생강은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기고 얇게 썬다. 통계피는 물에 씻어 물기를 뺀다. ② 차관에 통계피와 생강 썬 것을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은 근하게 오랫동안 달인다. ③ 건더기는 체로 걸러 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라 낸 다음 황설탕을 타서 녹인 후 잣을 뛰워 마신다. 12. 생강 대추차 겨울철 목이 칼칼하고 감기 기운이 있을 때 마시면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