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사랑은 아이들 미래요, 희망입니다.
한글 맞춤법이야기
1. 한글 맞춤법의 원리
한글 맞춤법이 어렵다고 한다.
왜 우리말은 이리도 어려우냐고도 한다.
실제로 맞춤법에 정확히 맞게 문자 생활을 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예컨대 농구에서 선수가 공을 던져 바스켓 안에 집어넣는 비율을
'슛율'이라고 적을지 '슛률'이라고 적을지 판단키 어렵다.
또 '책을 집어 던지다'처럼 띄어 써야 할지 '책을 집어던지다'처럼 붙여 써야 할지도
사전이 없으면 판단키 어렵다.
그러나 문자 생활에서 이런 정도의 어려움은 어느 언어에나 있다.
수년 전 미국의 어느 부통령은 'tomato'를 'tomatoe'라고 써서 말밥에 오른 적이 있고,
영어사전들에는 'database'처럼 붙여 쓴 사전이 있는가 하면 'data base'처럼 띄어 쓴 사전도 있다.
또 미국의 주 이름 중 'Kansas'는 '캔자스'라고 읽지만 그 앞에 'ar'이 붙은 'Arkansas'는 '아칸소'라고 읽는다.
어찌 영어 맞춤법이 더 쉬울쏘냐?
그런데 왜 우리는 한글 맞춤법만 어렵다고 할까?
한글 맞춤법은 한국인이 한국어로 문자 생활을 하는 데 필수적인 지식임에도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초등학교에서 대학교에 이르는 동안 이를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경험이 별로 없다.
게다가 우리에게는 한글 맞춤법의 내용이 구체화되어 있는,
그리하여 문자 생활에 표준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좋은 사전도 드물다.
이러니 한글 맞춤법이 어렵다는 일반인들의 불평도 그리 근거 없지는 않아 보인다.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가?
첫째는 한글 맞춤법에 대한 쉽고 정확한 해설서를 만들어 이를 학교 교육에서 가르치도록 하는 일이다.
한글 맞춤법은 문자 생활의 바탕이 되므로
그 원리를 알면 문자 생활에 작용하는 많은 규정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밥을 먹은 뒤에 그릇을 씻어 치우는 일은 '설겆이'가 아니라 '설거지'라고 적는데
이는 '설겆다'라는 말이 없어 굳이 소리와 달리 '설겆이'로 적을 이유
(즉 '설겆이'로 적는 것이 뜻을 파악하기 쉽다든지 하는 따위)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는 한글 맞춤법이 구체화되어 국민들의 문자 생활에 표준을 제공할 수 있는 사전을 만드는 일이다.
그리하여 일반인들은 사전만 찾아보아도 맞춤법, 띄어쓰기, 표준어 여부 등을 정확히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우리도 이제는 이처럼 권위 있는 사전을 가진 문명국의 국민이 되어 한글 맞춤법이 어렵다는 불평을 거둬들이고
사전과 더불어 행복한 문자 생활을 영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글 맞춤법이란 무엇인가? 우리말을 우리 문자인 한글로 적는 방식을 규정한 법이다.
우리말을 적는 통일된 방식이 없어 사람마다 적는 방식이 제각각이라면 우리의 문자 생활은 큰 혼란에 빠질 것이다.
따라서 한글 맞춤법은 불필요한 규제가 아니요 효율적인 문자 생활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규범인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맞춤법이 좋은 맞춤법일까? 독자가 읽을 때 이해하기 쉽도록 적어 주는 방식일 것이다.
맞춤법은 필자와 독자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의사 전달을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글 맞춤법의 원리는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에 나타나 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위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표기 대상이 표준어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즉 우리 국민의 공통적인 표준어를 맞춤법 규정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맞춤법은 표준어가 정해지면 이를 어떻게 적을지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그런데 표준어를 적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들리는 대로 적는 것이요, 또 하나는 들리는 소리와는 다소 멀어지더라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적는 것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이 두 방식이 상충되는 듯하나 한글 맞춤법은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키고 있다.
즉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이라는 구절은 바로 이 두 방식의 조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위 구절에서 어미 '-되'는 앞절의 내용을 인정하면서 뒷절의 내용을 단서로 덧붙인다는 뜻을 가지므로
제1항은 소리대로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것은 어법에 맞게 적는다는
단서 조항에 어긋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렇다면 어법에 맞게 적는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이 규정의 취지는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적는다는 것일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적는 것이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적는 것인가?
그것은 문장에서 뜻을 담당하는 실사(實辭)의 표기를 고정시켜 적는 방식일 것이다.
예컨대 '꼬치, 꼬츨, 趨또'처럼 적기보다 실사인 '꽃'의 표기가 고정된 '꽃이, 꽃을, 꽃도'처럼 적는 것이다.
'꼬치'와 같은 방식은 들리는 대로 적어서 적기에는 좋을지 모르나
뜻을 담당하는 실사의 표기가 고정되지 않아 뜻을 파악하기에는 큰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제1항에서 "어법에 맞게"라는 구절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체언과 용언 어간은 대표적인 실사이므로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뜻을 담당하는 실사의 표기를
고정시켜 적는다는 것은 체언과 조사를 구별해서 적고 용언의 어간과 어미를 구별해서 적는 셈이 되는데,
바로 이러한 내용을 포괄하는 표현으로는 "어법"이라는 말이 적당하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제1항의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이란 구절을 바르게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느 쪽으로 적는 것이 어법에 맞는지(즉 뜻을 파악하기 쉬운지) 살펴 그에 따라 적고
둘째, 어느 쪽으로 적든지 어법에 맞는 정도에(뜻을 파악하는 데에) 별 차이가 없을 때에는 소리대로 적는다.
예컨대 '붙이다(우표를 ∼)'와 '부치다(힘이 ∼)'에서 전자는 동사 어간 '붙-'과 의미상의 연관성이 뚜렷하여
'붙이-'처럼 적어 줄 때 그 뜻을 파악하기 쉬운 이점이 있으므로 소리와 달리 '붙이다'로 적고
후자는 전자와 달리 굳이 소리와 달리 적을 뚜렷한 이유가 없으므로 대원칙인
'소리대로'의 원리에 따라 '부치다'로 적는 것이다.
2. 띄어쓰기의 원리
【제2항】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 문장의 각 단어는 구분지어 표기한다.
[해설] 띄어쓰기의 기본 단위는 단어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가 될 수도 있으므로
(예컨대 단어 '돌'과 단어 '다리'가 만나면 또 다른 단어 '돌다리'가 된다) 어떤 말이 한 단어인지,
그렇지 않은지의 판단이 쉽지 않다.
따라서 어떤 말이 한 단어인지 아닌지는 국어사전을 찾아보는 것이 제일 좋다.
⸂ 실사(實辭)가 잘 드러나도록 띄어 쓴다.
[해설] 문장의 의미는 주로 실사에 의해 전달되므로 실사를 중심으로 띄어쓰기를 하면 의미 전달이 더욱 쉽다.
(즉, 조사는 단어이나 실사가 아니므로 앞말에 붙여 쓴다.) 띄어쓰기를 하는 목적은
독자에게 의미가 더 쉽게 전달되도록 하는 데 있다.
◑ 문장에서 뜻을 담당하는 말(즉 명사, 동사 따위)을 실사(實辭)라 하고 문법적 관계나
기능을 나타내는 말(즉 조사나 어미)을 허사(虛辭)라 한다.
⸃ '-아/어' 뒤에 오는 보조용언이나 의존명사에 '하다, 싶다'가 붙어서 된 보조용언,
그리고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는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 문제 [76]
[해설] 실질적인 뜻이 미약한 의존명사나 보조용언은 실사와 허사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다.
[참고] 북한의 규정: 1987년 5월 15일 국어사정위원회에서 펴낸 <조선말규범집>에는
"불완전명사와 이에 준하는 단위들은 원칙적으로 앞단어에 붙여쓰며 일부 경우에 띄여쓰는 것으로 조절한다."라는
규정이 있다.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실제로 이어집니다.
한글은 누가 뭐래도 세계 으뜸입니다.
자부심을 가지셔도 좋습니다.
응원은 모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긍정의 삶으로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시사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과 띄어쓰기 2 (2) | 2023.06.30 |
---|---|
맞춤법과 띄어쓰기 1 (2) | 2023.06.29 |
흙 / 유월을 보내며... (6) | 2023.06.27 |
시 / 괴뢰군 000호 (2) | 2023.06.24 |
6.25전쟁, 대한민국 국군 포로 (4)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