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6 27

맥가이버식 문제 해결법

목차1, 개요2, 맥가이버3, 알버트아인슈타인4, 따뜻한 이야기5, 마무리 맥가이버식 문제 해결법 / 따뜻한 하루 1986년부터 1992년까지시청률 45%를 기록한 해외 드라마가 있습니다."우리 할아버지께선 늘 이렇게 말씀하셨지..."라는명대사는 많은 방송에서 패러디가 되었는데바로 미국 ABC 채널에서 방영한'맥가이버'입니다.주인공 맥가이버는 늘 위기에 처할 때마다총 한 자루 없이, 손에 쥔 일상 도구로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했습니다.폭력 대신 기지와 창의력을 발휘하는그의 모습은 많은 시청자의 마음을사로잡았습니다.그러나 맥가이버를 연기한 배우,'리처드 딘 앤더슨'의 현실은드라마만큼이나 험난했습니다.어릴 적 그의 꿈은 하키 선수였습니다.하지만, 큰 부상으로 그 꿈을 접어야 했고배우에도 도전했지만,..

시사와 이야기 2025.06.28

'마음편의점'으로 오세요

목차 1, 개요2, 행복한가3, 마음편의점4, 행복한 이야기5, 마무리 '서울은 외로운 도시...?' 거리 위의 수많은 사람들, 외로울 틈도 없을 것만 같은 차로 가득한 도로의 출퇴근길, 목적지가 어디인지 몰라도 어딘가로 향하는 바쁜 발걸음들...우리가 생각하는 서울이라는 도시의 모습은 눈코 뜰 새 없이 바쁩니다. 앞만 보고 걸어가느라 방금 옆으로 누가 지나갔는지조차 잘 기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죠. 사람들은 자기 할 일에 몰두하느라 주변을 둘러볼 여유조차 없습니다. 하지만 이 모습을 조금 멀리서 지켜보면, 사람들의 분주함 속에서 왠지 모를 공허함과 외로움이 들어찹니다. 서울시는 외로움 없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올해 봄부터 ‘마음편의점’을 열었습니다. 마음편의점이란, 작년 서울시가 발표한 ‘외로움 없는..

시사와 이야기 2025.06.27

태양에 특허는 없다.

목차 1, 개요2, 따뜻한 하루3, 칸트4, 따뜻한 이야기5, 마무리태양에 특허는 없다. / 따뜻한 하루19세기, 전 세계 인구는 급격히 늘었지만보건과 위생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습니다.인류의 대표적인 질병 중 하나인 소아마비도 확산해미국에서만 매년 3만~4만 명이 이 병에걸렸습니다.미국의 제32대 대통령이었던'프랭클린 루스벨트' 역시 39살의 나이에소아마비에 걸려 한동안 휠체어에 의지할 정도로거동이 불편했습니다.루스벨트는 직접 겪은 고통을 계기로소아마비 치료와 백신 개발에 집중적인 투자를아끼지 않았습니다.수많은 과학자의 연구에 날개를 달아주었고,마침내 1952년, 조너스 소크 박사가소아마비 백신을 발명하게 됩니다.소크 박사는 백신의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해가장 먼저 자신에게 백신을 투여했고,그 용기 ..

시사와 이야기 2025.06.26

역경의 시간도 축복이었다.

목차 1, 개요2, 따뜻한 하루3, 앤디 그로브4, 따뜻한 이야기5, 마무 역경의 시간도 축복이었다./따뜻한 하루 덴마크가 낳은 세계 최고의 동화 작가.'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은동화 작가로 성공하기 전에는 힘들고어려운 시절을 겪어야 했습니다.그는 가난한 구두 수선공의 아들로 태어나어려운 환경 속에서 자랐고,외모에 대한 콤플렉스로혼자 인형과 노는 시간이 많았습니다.가정 상황으로 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못한 채배우가 되고자 코펜하겐으로 상경했지만,발음이 정확하지 않고, 몸의 유연성도 부족해무대 위에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그는 오페라 가수와 무용수에도 도전했지만,신체적 한계로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그리고 작가로서 첫발을 내딛으려 할 때도맞춤법 실수와 미숙한 글솜씨로여러 출판사에서 거절당해야 했지만,그는 좌..

시사와 이야기 2025.06.25

변화를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목차 1, 개요2, 따뜻한 하루3, 잭 캔필드4, 따뜻한 이야기5, 마무리변화를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 따뜻한 하루 가지나방 애벌레는 천적으로부터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나뭇가지처럼 위장하는데자작나무 위에 있으면 자작나무 색으로,버드나무 위에 있으면 버드나무 색으로몸의 색을 바꿉니다.더 놀라운 점은, 임의로 줄무늬를 그려 넣은나뭇가지 위에 올려두어도 그 줄무늬가애벌레 몸에 그대로 나타난다는사실입니다.심지어 애벌레 눈을 가려도같은 결과가 나타납니다.이는 눈으로 색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피부로 빛을 느끼고 스스로변화시키기 때문입니다.세상은 변화하려는 열망으로 발전됐습니다.Change에 'g' 자를 'c' 자로 바꾸면Chance가 됩니다.변화를 두려워하지 마십시오.변화는 기회이며, 그 기회를 놓치지 않는 사람..

시사와 이야기 2025.06.24

시, 길을 찾아서

목차 1, 개요2, 길을 차아서3, 황인종4, 이야기5, 마무리 길을 찾아서 시/玄光 黃仁鍾 세상 살아가는 것 정해진 것 없기에 이 길로 갈까 아니면 저 길로 갈까 모두가 고심하며 보이지 않는 길 찾아 잘도 뻗어 가는구나 아기는 바라보는 모든 것들을 가슴에 담기 바쁘고 어른은 배우고 익힌 것을 자신의 길에 풀어나가고 발아래 개미들은 자신의 길 잊지 않고 달리고 달려가고 머리 위 새들도 자신의 길 찾아 힘차게 날아가니 앞에 서 있는 너도 모두가 고심하며 보이지 않는 길 찾아 잘도 뻗어 가는구나 세상 모두는 보이지 않는 길에서도 힘차게 나가는 것이 사는 것이라고,,, *** 조용한 카페가 회원님들을 기다린다 오셔서 글도 앍고 글도 올리고 북적거리던 지난날들이 그립다 초동문학초록향기 동인지를 ..

2025.06.23

많은 사람들이 요가를 하며 웁니다

목차 1, 개요2, 행복한가3, 세르파 루나4, 행복한 이야기5, 마무리 많은 사람들이 요가를 하며 웁니다. ‘우직하다'는 말을 좋아한다. 다른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묵묵히 걸어가기.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아도 걸어가는 시간이 차곡차곡 쌓이면내가 원하는 모습이 될 거라는 믿음. 나는 무엇을 하든지 몰입하는 편이다.중요한 일이 있으면 점심을 먹지 않고 화장실 가는 것도 참는다.일이 늦어져 다른 사람을 기다리게 하는 게 마뜩지 않다.이런 내가 고지식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셰르파 선생님의 수업은 힘든 아사나를 요구하지 않는다.그럼에도 나 같은 초보에게는 벅찰 때가 있다.그래서 나는 사바아사나(Savasana, 송장 자세)를 좋아한다.팔과 다리에 힘을 빼고 송장(Sava)처럼 반듯하게 누워서 호흡을 바라본다.오늘..

시사와 이야기 2025.06.23

조화를 이루면서 살자!

목차 1, 개요2, 따뜻한 하루 3, 인디언 격언4, 따뜻한 이야기4, 마무리조화를 이루면서 살자! / 따뜻한 하루오래전 시골 장터에서오르골 하나를 구매한 적이 있습니다.어디선가 맑고 고운 소리가 들려와소리를 따라가 보니 한 사람이오르골을 팔고 있었습니다.아기 손바닥만 한 작은 크기였지만,그 안에서는 샘물처럼 맑은 선율이조용히 흘러나오고 있었습니다.태엽을 감으면 언제든다시 음악을 들을 수 있었고,가격도 부담스럽지 않아 망설임 없이하나를 골랐습니다.조심스레 태엽을 돌리자작은 쇠 원통이 돌아가기 시작했고,그 움직임에 맞춰 고운 음악이흘러나오기 시작했습니다.'어떻게 이렇게 작은 상자에서이토록 아름다운 소리가 날까?'자세히 보니 안쪽에 원통형 실린더가 있고그 표면에는 크고 작은 뾰족한 돌기들이불규칙하게 박혀 있..

시사와 이야기 2025.06.22

상처 난 다이야몬드

목차 1, 개요2, 따뜻한 하루3, 다이야몬드4, 따뜻한 이야기5, 마무리상처 난 다이야몬드/따뜻한 하루 물방울처럼 맑고 깨끗한다이아몬드를 가진 왕이 있었습니다.그 다이아몬드는 세상 어디에도견줄 수 없는 보석이었기에,왕은 그 무엇보다도 아끼고 자랑스러워하며매일 그 빛을 바라보았습니다.그러던 어느 날,뜻하지 않는 일로 다이아몬드에 깊은 흠집이생기고 말았습니다.왕은 즉시 최고의 세공 기술자들을 불러조언을 구했지만, 모두 같은 대답만되풀이했습니다."왕이시여, 이 흠집은 절대없어지지 않습니다."그 말을 들은 왕은깊은 아쉬움과 안타까움에 잠겼습니다.하지만 며칠 후,한 탁월한 세공 기술자가 나타났습니다.그는 흠집을 지우려 하지 않고,오히려 흠집 주변에 아름다운 장미 꽃봉오리를정교하게 새겨 넣었습니다.다이아몬드 흠집..

시사와 이야기 2025.06.20

너 자신을 속이지 말라!

목차 1, 개요2, 행복한가3, 파울로 코엘료4, 행복한 이야기5, 마무리 우리는 서로에게 거울이 되어, 서로가 어떤 사람인지를 비춰 줍니다.- 파울로 코엘료 현대 양자물리학에서는 이 세상의 실상을 하나의 에너지장으로 본다.삼라만상은 하나의 에너지 파동이라는 것이다.따라서 나 한 사람의 마음은 삼라만상 전체의 마음과 통하게 된다.나 한 사람의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나 한 사람의 마음이 맑디맑다면, 나의 마음에 삼라만상이 훤히 비치게 된다.그래서 도를 깨친 사람은 가만히 앉아서 천하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자신의 마음이 흐려져 있다는 것이다. 자신을 속여서 그렇다.오랫동안 자신의 감정을 숨기다 보면, 나중에는 자신의 감정이 어떤지를 모르게 된다.자신의 마음을 모르게 되면, 다른 사람의 마음도 모르게..

시사와 이야기 2025.06.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