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와 교육

삼국시대 문관 관직

썬라이즈 2022. 11. 20. 07:05
728x90
반응형

[삼국시대 문관 관직]

한대의 중앙정치제도는 삼공구경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삼공에는 승상, 어사대부,,어사대부, 태위로 구성되었다.

삼공: 승상, 어사대부, 태위

구경: 태상, 광록훈, 위위, 태복, 정위, 대홍로, 종정, 대사농, 소부

황제 직속 기관: 내조, 사예교위, 부자사

승상(承相) : 국가 행정 최고 책임자. 황제를 보좌하여 회의를 주재하고 정책 수립과 결정을 보필하였다.

어사대부 : 승상 다음의 고위관리. 관리의 비행에 대한 감찰과 탄핵 임무와 황제의 비서 역할을 하였다.

태위 : 군사 방면 최고 책임자.

태상 : 황실의 종묘와 제례를 주관 (태사령과 태의령이 포함)

광록훈 : 황실과 궁중 제관의 감시와 통솔(태중 태부,(태중태부, 광록대부, 간대부, 후한에 생긴 간의대 부등이 이에 속한다.)

위위 : 황실과 궁성 수비.

태복 : 황실의 기마와 말을 관리.

정위 : 형법과 사법업무 주관.

대홍로 : 제후왕, 열후 및 주변 이족 군장들의 입조와 조공에 대한 출영과 접대.

종정 : 황실 종실과 외척의 생활에 대한 감시와 책임.

대사농 : 정부의 재정관리.

소부 : 황실에서 사용하는 재정관리.

내조 : 황제와 신하 사이에 왕래하는 문서를 맡아보던 관직(황제의 비서, 상서와 시중이 이에 포함) 승상의 권력 약화와 더불어 비대해짐.

1. 상서- 상서령, 상서복야상서복야, 상서시랑, 상서좌승상, 상서우승상

2. 시중- 천자고문역할, 산기- 간언, 중상시- 천자의 시종관

사예교위 : 어떤 부서에도 속하지 않고 황제로부터 직접 임무를 부여받아 결과를 직접 황제께 전달.(감찰 감독).(감찰감독)

부자사 : 지방행정관 관리에 대한 감찰 감독으로 그 대상은 군수의 일반 행정과 호적에 대한 감시였다.

 

[주요 관직]

간의대부: 광록훈의 속관으로 황제의 주변에서 간의, 의론, 등의 일을 맡아보았다.. 품질의 비 800석이고, 삼국시대에 제7품이었다. 진나라 때, 간대부라 부른 것을 후한시대에 간의대부로 개칭하였다.

공부 시랑공부는 영조, 공작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이며, 시랑은 성의 차관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공부의 장관 상서의 부직이었다. 삼국시대에는 이런 관직이 없었지만, 연의에서는 왕자복이 이 관직을 지냈다고 하였다.

광록대부 : 조정의 고문관. 진나라 때, 9경의 하나인 낭중령의 속관으로 설치된 것이 한무제 때, 광록훈의 속관으로 마련되었다.. 삼공 다음가는 높은 종 2품의2 벼슬이었으나, 실권이 없는 명예직이다. 3 등관,등관 녹봉2천석

광록훈 : 구경 가운데 하나로 궁중과 황실의 제관을 감독, 통솔하였다.,통솔하였다 태중태부, 광록대부, 간대부, 후한의 간의대부 등이 이에 속한다.

구경 : 황실과 중앙 정부의 정사를 처리하던 관직으로서 태상, 광록훈, 위위, 태복, 정위, 대홍로, 종정, 대사농, 소부가 이에 속한다. 삼공 바로 아래 최고위직이었다.

낭 관 : 각 관청에서 문서의 일을 맡아보던 관직이다. 한나라 때에는 시랑과 낭중을 난관이라 하였으나, 당나라 이후 낭중과 원외랑을 낭관이라 칭했다. 한나라 때는 상서의 보좌를 겸했고, 후에 각 사의 직무를 주관했다. 8 등관등관 , 녹봉4백석

낭중 : 소부에 소속된 상서랑 중의 약칭.

내조 : 황제와 신하 사이에 왕래하는 문서를 맡아보던 관직, 상서와 시중이 이에 속한다.

녹 상서사 : 궁정의 문서를 맡던 관직으로 후한 장제 때 태부와 태위에게 이 직무를 겸하게 하여 시작된 관직이다. 화제 이후 상설 기관이 되고, 그 관위는 삼공 위에 있었다. , 어린 황제가 즉위할 때마다, 그를 대신하여 집정하고 재상직을 겸하였다. 현대의 내각 총리와 같은 관직이다.

대사공 : 국가의 최고 관직 삼공의 하나, 사공과 같음

도독: 위 문제 때, 각 주의 군사와 자사의 관원을 통할하던 관직이다. 그러나, 후대에 이르러 산관의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독우 : 한나라 때 태수, 군수 등의 보좌관으로 설치된 관직. 각 현의 행정감독,

: 13주의 장관인 자사.

복야 : 관청의 주인, 또는 장의 직위.

비서랑 : 궁중의 도시 및 문서를 담당하던 관직. 명문 자제로써 임명.

사도 : 삼공의 하나. 국가의 대사를 관장하는 국가 최고의 관직. 민적 일반과 교육을 관장. 녹봉 1만석

: 삼국시대에는 지방행정제도가 군국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군에는 태수를 국에는 상을 두었다.

상국 : 재상을 말하는 것이나, 승상보다는 지위가 위며 특별한 경우에만 주어진다.

상시 : 정확하게는 중상 시이다.. 궁중의 일을 관장하는 황제의 사부인 소부에 속해있는 관리로 환관 직종 중 최고위직이다. 십상시는 10명의 상시를 말한다.

: 현에 소속된 관리. 문서와 창고 및 감옥 일을 맡았다.

시강 : 천자 또는 황태자의 학문을 지도하던 관직.

시어사 : 감찰을 맡아보던 관직. 어사중승이 아래 관직이며, 녹봉 700.

어사대부 : 승상 다음의 고위관리, 사공과 같다.

의랑 : 황제의 호위를 담당하는 부서인 광록훈 아래의 관직. 간의대부와 동격으로 6등관, 녹봉 600.

자사 : 한 시대는 중국 전토를 13주로 나누고 주의 장관을 자사라 하였다. 5군 내지 12군을 통솔했다. 2 등관,등관, 녹봉 2천석.

장사 : 진한 때, 승상 및 태위의 속관으로 둔 관직.

전농 : 식량의 징수와 감독을 담당했던 관직. 대사농에 속했다. 낙양에는 2등관[녹봉2천석]의 전농 중랑장이 전농 도위와 함께 배치되어 있었다.

종사 : 보좌관에 대한 총칭.

주부 : 삼공부에서 군에 이르기까지 각 관청에 두었던 문서나 기록을 담당했던 관리.

태수 : 삼국시대 군을 다스리던 지방장관. 녹봉2천석.

태중: 대부궁중의 의론을 맡아보던 관직.

행군: 사마장군의 보좌관. 녹봉 1천석.

현령 : 현의 장관. 녹봉 비 1천석.

현승 : 현령의 보좌관. 문서와 창, 옥을 다스렸다.

현위 : 현의 치안을 맡아보던 관직.

효력: 효도와 청렴한 사람을 지방관이 추천하여 벼슬길에 나선 사람을 말한다.

 

문관의 관직은 크게 외조와 내조로 나뉜다.

외조

1. 삼공 - 승상(최고 관리승상(최고 관리), 태위(대사마-병사 담당태위(대사마-병사 담당), 어사대부(대사공-왕명출납)

2. - 정경(태상-종묘예의정경(태상-종묘 예의, 광록훈-궁문관리광록훈-궁문 관리, 위위-궁문군사지휘, 태복-황실 기마 관리,, 정위-형법, 대홍로-외무담당, 종정-종궁담당, 대사농-농림재, 무관리, 소부-국세청업무)

열경(삼보-<경조윤, 좌빙익, 우부풍>으로 수도를 다스림, 집금오-수도치안, 장작대장-궁궐건설, 첨사-황실가사담당)

3. 삼사(태사, 태부, 태보-황제의 고문 격), 태자대부- 태자지도, 수형도위-상림원관리)

내조(승상의 권력 약화와 더불어 비대)

1. 상서- 상서령, 상서복야, 상서시랑, 상서좌승상, 상서우승상

2. 시중- 천자고문역할, 산기- 간언, 중상시- 천자의 시종관

^(^,

창작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응원은 모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긍정의 힘으로 파이팅!

728x90
반응형

'자료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화에 월백하고/이조년  (6) 2022.11.22
흥륜사 벽화 보현 설화  (0) 2022.11.20
한근의 '살 '설화  (2) 2022.11.17
후광 효과(Halo Effect)  (4) 2022.11.14
명화와 기도  (2) 2022.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