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와 교육

이화에 월백하고/이조년

썬라이즈 2022. 11. 22. 13:32
728x90
반응형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

-현대풀이-

하얗게 핀 배꽃에 달은 환히 비추고 은하수가 삼경(자정 무렵)을 가리키는 한밤중에

배나무 가지에 어린 봄의 정감을 소쩍새가 알겠느냐마는 (봄밤의 애상적 분위기)

다정다감함도 병인 듯하여 잠을 이룰 수가 없노라. (정한의 정서 표출)

-창작 배경-

고려 25대 충렬왕의 계승문제로 당론이 분열되었을 때, 이조년이 주도파의 모함으로 귀양살이를 하던 중, 임금에 대한 걱정과 유배지에서의 은둔 생활의 애상을 이 시조로 표현하였다.

-이해와 감상-

" 배꽃이 하얗게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데, 거기에 휘영청 달이 밝으니 하얀 배꽃과 밝은 달이 서로 어울려 배꽃은 더욱 희고, 달빛은 더욱 환상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더욱이 밤은 깊어 은하수가 기운 삼경이라, 온 천지가 쥐죽은 듯이 고요하여 신비의 세계를 이루고 있다. 그 고요를 깨듯이 소쩍새가 구슬프게 울어대는구나. 배꽃 가지에 서려 있는 봄날의 애틋한 애상을 소쩍새 네가 어찌 알겠는가마는 이렇듯 다정다감한 내 마음도 병인 듯하여 도저히 잠을 이룰 수가 없구나. "

이화의 청초와 순백, 월백의 환상과 낭만, 삼경 은한의 신비감, 자규의 처절과 애원, 이것들이 뒤범벅이 되어 빚어 내는 봄밤의 애상적이면서도 낭만적인 분위기는 사람으로 하여금 우수에 잠겨 전전반측(輾轉反側) 잠 못 이루게 하고 있다.

의인법과 직유법의 표현으로 '배꽃과 달빛', '소쩍새'의 이미지를 통하여 봄밤의 애상과 우수에 잠겨 잠을 이루지 못하는 작자의 심정이 잘 나타나 있다.  한가닥 지향할 수 없는 애상적인 봄밤의 정서는 '이화, 월백, 은한' 등의 백색 언어와 자규(소쩍새)에 연결되어 작자의 충정이 청빈, 고독함을 나타내면서 모든 시상이 일지춘심에 집중되고 있다. 이 시조는 고려시대 시조 중에서 문학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된다.

◆ 작품에 나타난 시간적 배경 → 시간적 배경을 나타내는 시어는 '이화', '월백', '삼경'이다. '이화'는 배꽃이 피는 시기(5월경)인 봄과 관계가 있고, '월백'은 달빛이 한창 비추는 밤과 관계가 있다. '삼경'은 밤 11시에서 1시 사이, 즉 자정을 가리키는 시어로 한밤중이라는 시간적 배경을 직접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시어를 종합할 때, 이 시조의 시간적 배경은 '달빛이 밝은 봄날 밤의 한밤중'임을 알 수 있다. 실제 자연 현상에서도 자정을 전후한 시간에 보름달이 중천에 떠올라 달빛을 쏟아 낸다. 또 배꽃이 피는 5월경에 자정을 전후하여 은하수가 남북으로 길게 하늘을 가로지른다. 따라서 이 시조는 자연 현상을 피상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작가가 직접 관찰한 것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리-

 성격 : 평시조, 서정시, 다정가

◆ 표현 : 의인법, 직유법, 시각과 청각적 심상의 조화, 백색의 이미지

◆ 주제 : 봄밤에 느끼는 애상적인 정서

^(^,

창작은 상상력에서 나온다.

반응형

응원은 모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긍정의 힘으로 파이팅!

728x90
반응형

'자료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끝없는 이야기  (0) 2022.11.26
귀또리 저 귀또리~  (4) 2022.11.23
흥륜사 벽화 보현 설화  (0) 2022.11.20
삼국시대 문관 관직  (4) 2022.11.20
한근의 '살 '설화  (2) 2022.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