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color-gray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자료와 교육

작자 미상, 개를 여남은 이나 기르되~

반응형

728x90

 

개를 여남은 이나 기르되~     -작자 미상-

 

 

-현대어 풀이-

개를 열 마리가 넘게 길렀어도 요 개같이 얄미운 놈이 있을까.

내가 미워하는 님이 오면 꼬리를 살랑살랑 흔들며 뛰어오르며 반겨서 좋아하고, 내가 좋아하는 님이 오면 뒷발을 바둥거리며 뒤로 물러갔다 앞으로 나아갔다 하며  캉캉 짖어 돌아가게 하는구나.

(설령) 쉰 밥이 그릇 그릇에 남아돈들 너에게 먹일 마음이 있겠느냐?.

 

-이해와 감상-

지은이와 창작 연대가 알려져 있지 않은 사설시조이다. 초장과 종장은 원래의 시조 형식을 갖추고 있는 반면에, 중장은 그 파격이 충분히 인정될 만큼 길이가 확장되어 있다. 형식적 파격과 함께 내용에 있어서도 기존의 사대부들의 시조에서 볼 수 없었던 민중들의 자유롭고 발랄한 감정 표현, 현실에서 흔히 겪는 일상적인 사실이나 감정을 소재로 하여 참신하고도 기발하게, 조금은 익살스럽게 표현되어 있다.

내가 미워하는 임이 오면 반가워하고, 내가 좋아하는 임이 오면 방해를 놓으며 가게 만드는 얄미운 개를 향해, 개 먹이가 아무리 많아도 줄 마음이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너무도 솔직하고 소박하게 자신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기다리는 정서의 간절함이 지나쳐, 오지 않는 임에 대한 미움을 개에게 전가시키고 있다. 개 때문에 임이 못 올 리 없건마는 아무 것도 모르고 짖는 개를 원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착상을 통해 소박한 여심(女心)이 사실적이면서도 익살스럽게 표현되었다. 또, 임을 내쫓는 개의 동작을 묘사한 부분은 의성 · 의태어를 적절하게 써서 실감나게 표현함으로써 이 작품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므르락 나으락'은 뒤로 물러났다 앞으로 나아갔다 한다는 말로서, 소박하면서도 실감나는 개의 동작에 대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조와 비슷한 작품이 또 있다.

"바독이 검동이 청삽사리 중에 조 노랑 암캐같이 얄밉고 잔미우랴 / 미운님 오게 되면 꼬리를 회회 치며 반겨 내닫고 고운님 오게 되면 두 발을 벋디디고 콧살을 찡그리며 무르락 나으락 캉캉 짖는 요 노랑 암캐 / 이튿날 문 밖에 '개 사옵세' 웨는 장사 가거드란 찬찬 동여 내어주리라.<작자미상>"

 

-정리-

◆ 성격 : 사설시조

◆ 주제 : 주인의 진심을 몰라주는 개에 대한 얄미운 감정과 임을 기다리는 애절한 마음

◆ 표현

①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여 개의 행동을 실감나게 표현함.

② 오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을 개에 대한 미움으로 옮겨 해학적으로 표현함.

③ 일상적 소재를 활용하여 소박하고도 해학적으로 화자의 정서를 표현함.

 

***

창작은 상상력에서 나온다.

반응형

 

^(^,

열심히 산다는 것은 날마다 행복을 심는 일이다.

긍정의 삶으로 파이팅!

728x90
반응형

'자료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래 삼긴 사람  (0) 2023.12.09
창 내고자 창을 내고자~  (0) 2023.11.27
어이 얼어 잘이  (4) 2023.11.24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  (0) 2023.11.19
박팽년 / 가마귀 눈비 마자  (2) 202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