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1910~1945의 역사
1910년
3월 26일, 안중근, 여순(旅順)감옥에서 사형당함.
8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조중응(趙重應)과 통감 데라우치[寺內正毅]를 방문 합방에 관한 각서 교부.
22일, 이완용·데라우치, 한일합병조약에 조인.
10월 1일, 총독에 데라우치 통감이 임명.
12월 27일, 데라우치 총독 암살계획을 추진 중이던 안명근(安明根) 체포. 105인 사건으로 확대되어 12년에 윤치호(尹致昊) 등 신민 회원 120여 명 기소.
1911년
3월, 김좌진(金佐鎭) 등 18명을 강도죄로 구금. 경무총감부, 언론 통제.
3월 29일, 조선은행법 공포.
4월 17일, 도로규칙 및 조선토지수용령 공포.
5월 15일, 《소년》지 폐간(지령 23호). 이 해, 경주에서 우편국 직원에 의해 석굴암 발견.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구약성서》 완역판 등 출간.
1912년
2월 16일, 어업세령(漁業稅令) 공포.
23일, 수산조합·어업조합 규칙 공포.
1913년
5월 13일, 안창호 등, 흥사단(興士團)을 조직.
12월 15일, 한강철교 복선화 완성. 최초의 번안소설 《장한몽(長恨夢)》,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
1914년
1월 11일, 대전∼목포간 호남선 공사 완성(3월 22일 개통).
3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 부˙군˙면(府郡面) 통폐합 실시.
1915년
1월 15일, 윤상태(尹相泰)·서상일(徐相日)·이시영(李始榮) 등 30여 명, 경북 달성을 중심으로 조선 국권회복단 조직.
9월 11일, 총독부, 경복궁에서 통치 5주년기념 조선물산 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개최(~10.31).
15일, 경성우편국청사 준공. 일본제 고무신 등장.
1916년
4월 25일, 세브란스의학전문 개교.
6월 25일, 경복궁터에 총독부 청사 건물 기공식.
8월 2일, 영친왕 이은(李垠)의 비(妃)로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16)를 선택.
9월 12일, 대종교 교주 나철(羅喆:본명 羅寅永), 자결(1863∼).
10월 16일, 일본육군대장 하세카와[長谷川好道], 조선총독에 임명. 박중빈(朴重彬), 전북 인산에서 원불교(圓佛敎) 창시.
1917년
1월 1일, 이광수(李光洙)의 장편 소설 ;무정(無情) ; 《매일신보》에 연재 시작.
4월 30일, 이왕가(李王家)에 아악생(雅樂生) 양성소 설립.
6월 8일, 순종황제, 일본에 감(28일 귀국).
10월 17일, 한강인도교 준공.
29일, 박용만(朴容萬), 뉴욕에서 열린 세계 25개국 약소민족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
1918년
1월 17일, 고등고시 및 보통고시령 공포.
18일, 총독부, 《조선어사전》 편찬, 간행(1910~).
11월 15일, 신한청년당원 여운형, 미국 윌슨 대통령의 특사 크레인과 회견.
20일, 미주 교포단체들,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진정서 제출.
30일, 여운형, 파리강회회의와 미국 대통령에게 보낼 한국 독립 요청서를 크레인에게 전달
12월 5일 영친왕과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미사코와 혼인을 발표.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 덕수궁에서 승하(3.3.국장).
2월 8일, 도쿄 유학생 600여 명, 기독교 청년회관에 모여 조선 청년 독립단 명의로 독립선언문 발표. 김동인(金東仁), 도쿄에서 《창조》 발간.
3월 1일, 황제의 국장을 계기로 3·1 독립운동 일어남. 손병희(孫秉熙)를 비롯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서울 탑골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 발표.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만주 류허현[柳河縣]에서 대한독립단 발족. 임시정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임시헌장 10개 조 발 표.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정부를 구성.
8월 12일, 사이토[齊藤實] 선임 총독 부임.
8월, 홍범도(洪範圖) 휘하의 대한독립군, 기습작전.
9월 2일, 노인 동맹단의 강우규(姜宇奎), 남대문역(서울역)에서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 투척(37명이 중경상).
10월 5일, 김성수(金性洙) 등, 경성방직(京城紡織)(株) 설립.
27일, 최초의 한국영화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
11월 9일, 의친왕 이강(李堈), 상하이로 탈출(11.11. 국내로 강제 압송).
1920년
1월 6일, 총독부 《조선일보(朝鮮日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시사 신보(時事新報)의 발행을 허가.
4월 28일, 영친왕 이은(李垠), 일본에서 황족 마사코[方子]와 결혼.
6월 25일, 월간 종합지 《개벽(開闢)》 창간.
7월 13일, 고원훈(高元勳)˙김성수(金性洙) 등 조선체육회 창립.
25일, 오상순(吳相淳) 등에 의해 《폐허(廢墟)》 창간.
10월 20일, 김좌진(金佐鎭)˙지청천(池靑天) 휘하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청산리(靑山里)에서 대승(청산리대첩). 유관순(柳寬順), 옥중에서 죽음. 윤심덕(尹心悳), 일본에서 한국인 최초로 레코드 취입.
1921년
1월 2일, 서재필(徐載弼), 미국 대통령 하딩과 회견, 한국 독립 지원 요청.
12월 3일, 김윤경(金允經)·장지영(張志暎)·이병기(李秉岐) 등 16명, 조선어연구회 창립(대표 任景宰 1931.1.10. 조선어학회로 개편). 윤백남(尹白南) 등,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세》 제작. 변영로(卞榮魯)·황석우(黃錫禹)·박종화(朴鍾和) 등,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 창간.
1922년
1월 7일, 조선불교도 총회, 30 본산 연합제(本山聯合制) 폐지 결정.
23일, 모스크바에서 극동 민족 무산자 대회 개최. 김규식(金奎植), 조선 대표로 참석. 월간 문예지 《백조(白潮)》 창간(1923.9. 통권 3호로 종간). 윤백남(尹白南), 민중극단 창단.
3월 31일, 총독부, 신교 육령에 따라 모든 학교 관제·조선 공립학교 관제 공포(4.1. 시행).
6월 1일, 제1회 조선 미술전람회(약칭 鮮展) 개최(~6.21).
6월,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南), 도쿄∼오사카[東京~大阪] 간 비행 성공
1923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고려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조선물산 장려회 창립.
3월, 연희전문학교 설립. 천도교 소년회, 잡지 《어린이》 창간.
9월 2일, 박렬(朴烈), 일황(日皇) 암살 미수 혐의로 도쿄 경시청에 구금됨.
9월 일본 도쿄 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동인지 《금성(金星)》 창간.
1924년
1월 4일,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 일본 도쿄 궁성(宮城)의 나주 바시[二重槁]에 폭탄 투척 (二重槁사건).
3월 31일, 《시대일보(時代日報)》 창간.
4월 17일, 서울에서 전 조선노동총동맹 발족.
5월 2일, 경성제국대학 관제 공포. 7월, 이필우(李弼雨),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전국 여자배구대회 사진 촬영·제작.
8월 5일, 북풍회(北風會) 최승일(崔丞一)·이호(李浩) 등 문인 30여 명, 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 결성.
1925년
1월 3일, 도쿄의 북성회(北星會), 일월회(一月會)로 개칭하고 기관지 《척후대(斥候隊)》 발행.
4월 17일, 김재봉(金在鳳)·조봉암(曺奉岩) 등, 서울 조선공산당 조직.
11월 27일, 신의주에서 제1차 공산당 사건으로 박헌영(朴憲永)˙김약수(金若水) 등 체포.
10월 13일,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 참배 거부.
15일, 서울운동장 개장.
1926년
1월 2일, 일본 미에현[三重縣]에서 교포 학살사건 발생.
4월 1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법문학부 개설.
5일,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정의부(正義府)를 기반으로 고려혁명당 조직(위원장 梁起鐸).
26일 순종(純宗) 승하. 27일, 영친왕 은(垠), 왕위 계승. 6·10 만세 사건.
9월, 극영화 《아리랑》 상영됨. 30일, 경성방송국 창립.
12월 28일, 의열단원 나석주(羅錫疇), 식산은행과 동양척식(東洋拓殖) 회사에 폭탄 던지고, 일경과 맞싸우다가 자결.
1927년
4월 7일, 이상재(李商在)의 장례식, 국내 최초의 사회장으로 거행.
5월 1일, 경성∼오사카[大阪] 간 정식으로 무선통신 개통.
2일, 흥남에 조선 질소비료 주식회사 설립. 마봉옥(馬鳳玉), 한국 최초의 마라톤 공인기록(3시간 29분 37초) 수립.
1928년
3월 이동녕(李東寧)·시영(李始榮)·김구(金九) 등, 상하이 프랑스 조계(租界)에서 한국 독 립당 창당.
6월 5일, 이영행(李永行)·방용배(方龍培), 새 정무총감(政務總監) 이케가미[池上四郞]를 암살하려다 실패, 체포. 최현배(崔鉉培) 저 《우리말본》(제1편) 등 간행.
1929년
4월 1일, 여의도 비행장 개장. 일본항 공수 송주(株), 도쿄∼울산 간, 울산∼타 이롄 [大連] 간 항공로 개설.
6월 24일, 총독부 독직(瀆職) 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8.17).
8월 17일, 새 총독에 사이토[齋藤實]가 재임.
11월 3일, 광주학생 사건 발발, 전국적으로 확대.
12월 13일, 신간회 44명, 근우회 간부 47명 검거됨(민중대회 사건). 이 해, 신익희˙김홍일˙민병길(閔丙吉) 등 난징[南京]에서 한국혁명당 조직.
1930년
1월 24일, 김좌진(金佐鎭), 북만주 산지(山之) 역전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1월, 학생시위 전국으로 번져, 학교 수업 마비상태.
8월 7일, 평양 고무 근로자들 1,800여 명, 임금 인하 조처에 반대 동맹파업.
12월 1일, 지방 제제의 개혁 단행. 읍면제(邑面制) 및 도제(道制) 공포.
1931년
3월 29일, 안창호·조상섭(趙尙燮)·차이석(車利錫) 등 상하이 흥사단 내에 공평사(公平社) 조직(이사장 안창호). 4월 18일, 임시정부, 삼균 제도(三均制度)를 건국 원칙으로 천명.
6월 17일, 육군대장 우가키[宇垣一成], 총독에 임명됨(7.14. 착임).
7월 2일, 지린성[吉林省] 만보산(萬寶山) 삼성보(三姓堡)에서 수로공사 중 한·중 농민 충돌(만보산 사고). 서울·인천·평양 등 전국 각지에서 반중(反中) 감정 노골화, 중국인 습격·학대사건 속발.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직속 하에 일본 요인 암살을 목적으로 한 ‘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년] 1월 8일, 한인 애국 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문[櫻田門] 밖에서 히로히토[裕仁]에게 수류탄 투척, 실패.
4월 29일,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 훙커우공원에서 일황 생일 경축식 겸 상해사변 승리 기념식장에서 폭탄을 던짐. 5월,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저장성[浙江省] 고주(枯州)로 옮김.
1933년
2월, 이승만,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대표로 참석, 일본의 만주침략 등 공박.
11월 4일, 조선어학회, 한글 반포 487회 기념식 갖고 ‘한글 맞춤법 통일안’ 발표.
1934년
5월 7일, 이병도·김윤경·이병기 등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
4월 11일, 조선 농지령 공포(10.20. 시행).
25일, 겸이 포제 철(兼二浦製鐵), 1일, 부산~신경(新京)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1935년
4월 15일, 회령(會寧) 유선(遊仙) 탄광에서 폭약 폭발, 800여 명 갱부 매몰.
7월 5일,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 민족당·대한 독립당, 난징[南京]에서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임정 국무위원 양기탁·유동열(柳東說)·김규식·조소앙·최동오(崔東旿)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함으로써 임정 운영 한때 정체상태에 빠짐. 12월 3일, 청진(淸津) 비행장 개장.
1936년
8월 26일, 총독 우가키[宇垣] 후임으로 미나미[南次郞] 부임.
9일,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 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동아일보》, 손선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 보도(8.25).
29일, 사건으로 《동아일보》 정간. 10월 23일, 한강 인도교 개통(381`m). 12월 12일, 조선사상범 보호관찰 령 공포(12.21. 시행).
1937년
3월 10일, 총독부 강권에 따른 제1차 간도 이민단 일행 1만 2000명 출발.
5월 만주 동북(東北) 항일연합군, 갑산군 혜산진(惠山鎭) 보천보(普天堡) 주재소 습격(보천보 사건).
6월 7일, 안창호 등 150여 명, 동우회(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됨. 총독부, 한국 여인들의 금비녀 등 헌납을 강요.
11월, 임시정부,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이전.
1938년
2월 9일, 장로교 평북노회(平北老會), 기독교계에서 최초로 신사 참배를 국가의식으로 인정.
2월 조선 육군 특별지원병 제도 창설.
3월 3일, 조선교육령 개정 공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과목 교육 폐지.
31일, 평양 숭의(崇義)·숭실(崇實) 학교, 신사 참배 거부하고 폐교.
7월, 임시정부, 광둥[廣東]으로 옮김. 10월, 임정, 조선민족전선계를 주축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덕수궁 미술관 개관. 조선 빌딩(반도호텔) 준공됨.
1939년
2월, 광복 진선(光復陣線), 광시성[廣西省] 류저우에서 청년 공작대 조직.
3월, 임시정부, 쓰촨 성[四川省]으로 옮김.
7월 3일, 경방단(警防團) 규칙 공포.
22일, 경춘선(京春線:경성∼춘천 간) 개통식.
9월 28일, 만포선(滿浦線) 완전 개통.
30일, 총독부, 국민 정용령 발동(10.1.∼1945년까지 45만 명 동원).
1940년
2월 11일, 총독부, 창 씨(創氏) 제도 시행.
8월 10일,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20일, 쌀 배급제도 실시.
1941년
3월 15일, 총독부 학도 정신대 조직, 근로 동원 강요.
25일, 조선교육령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4월 1일, 생활 필수 문자 통제령 공포.
8월, 보천보(普天堡) 사건 관련자(6명)에 사형선고.
9월 3일, 총독부, 조선임 전보 국단(臨戰報國團) 결성.
12월 8일, 외국 신부˙선교사 등 67명 스파이 혐의로 검거.
9일, 임시정부, 대일(對日) 선전포고.
1942년
2월 27일, 워싱턴에서 독립운동단체를 총망라한 한족 대회 열림(∼3.1.).
3월 1일, 임시정부, 중˙미˙영˙소에 임정 승인을 요청.
5월 29일, 새 총독에 고이소[小磯國昭] 임명. 7월 김두봉(金枓奉) 일파, 옌안[延安]에서 조선독립동맹 조직.
9월 8일, 총독부, 금속(金屬) 회수에 강제권 발동.
30일, 청장년 국민 등록 실시.
10월 1일, 최현배(崔鉉培) 등 30여 명,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체포.
1943년
3월 1일, 조선인 징병제 공포(8.1. 시행). 5월 18일, 태백산(太白山) 남벌 시작(조선 목재로 쓰기 위함).
6월 1일, 백금 회수 강행. 3일, 해군 특별지원령 공포(10.1. 시행).
10월 20일, 학도병제 실시.
12월 15일, 학도병 미지원자에게 징용령 발동.
1944년
2월 8일, 국민 총동원법에 의거, 징용제 실시.
10일, 여자 청년특별 연성령(特別鍊成令) 공포. 관청들 일요일 휴무제 폐지.
4월 22일, 기독교도의 신사 참배 강요에 항거하던 주기철(朱基徹) 목사 순교.
5월 9일, 여자정신대 1차(경남반), 도야마현[富山縣] 동제 공업(銅材工業)에 동원됨.
6월 17일, 미곡 강제 공출제(할당제) 실시.
7월 24일, 새 총독으로 아베[阿部信行] 임명.
8월 23일, 독신여성을 동원, 일본˙남양군도 등지의 종군위안부 등으로 강제징용.
8월, 한국 광복 진선계(光復陳線系), 충칭[重慶]에서 한국청년회 조직.
1945년
8월 15일 광복
대한독립 만세! 대한독립 만세! 대한독립 민세!
첨언, 일본은 아직도 반성이 없다.
응원은 모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긍정의 힘으로 파이팅!
나라에 충성!
'자료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가들이 남긴 말 (0) | 2021.12.17 |
---|---|
나폴레온 1세와 왕비 조세핀의 대관식 (0) | 2021.12.15 |
세계 역사상 최고의 악녀 TOP 10 (2) | 2021.12.11 |
우리의 땅 間島 (0) | 2021.12.11 |
교황청 조선 원산교구 관할 지도에 간도 포함 (2) | 2021.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