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風水) 설화(說話)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지형에 어떤 인문적인 의미를 더하여 인간의 길흉화복을 해석하려는 풍수지리설에 관한 설화. 지형 설명, 풍수 곧 지사(地師)의 행위, 그 지형으로 인한 여러 모습의 결과 곧 성공과 실패에 관한 이야기이다.
/
한국·중국·일본에서 발달한 풍수지리설은 한국에서 더욱 독특한 성격으로 나타난다. 풍수설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말기에 득세하여 조선 말기까지 이해관계에 있어 크게 작용하다가 일제강점기를 거쳐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도 조상의 무덤을 잘 쓰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각 지역에서 많은 풍수설화를 채록할 수 있는 점에서 풍수설의 강인한 생명력을 알 수 있다.
풍수 설화의 내용을 편의상 구분하면, ① 소재거리, ② 풍수의 능력, ③ 응험(應驗)과 효과, ④ 풍수 형성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① 소재거리: 소재의 규모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와 특정 도읍이나 마을, 산 사람의 집인 양택(陽宅), 그리고 죽은 사람 편인 왕의 능묘(陵墓), 국가유공자의 국립묘지, 개인의 묘지로 나눌 수 있다.
한반도를 토끼 모양이라고 한 것은 일본인이 식민지 정책으로 이용한 잘못된 설이고 원래 한반도는 호랑이 모양이라 하였다. 그 증거로 경상북도 영일군의 구룡반도를 호미(虎尾)라 한다.
그런데 이 호미등(虎尾嶝)에 일본인이 1903년 장기갑(長垢岬) 등대를 세우자, 호랑이 꼬리에 불을 켜면 호랑이가 꼬리를 흔들어, 등대가 넘어져 부근이 불바다가 되고 우리나라가 고통에 빠진다고 주민이 한사코 반대했는데, 급기야는 일본인 등대수 가족이 괴한의 손에 몰살당하는 일이 생겼다 한다.
왕릉을 잡은 풍수는 원칙적으로 죽이는 것이 관례였으나 너무 잔인한 일이라 하여 “저 풍수 잡아라!”고 소리만 치고 끝내기도 하였다.
고려를 나타내는 개성의 ‘송악산신’이나 근세조선을 나타내는 ‘삼각 산신’, 서울이 되려고 부지런히 달려오다(또는 돌다) 여자에게 들켜 실패한 ‘산이동(山移動) 설화’, 서울의 진산(鎭山)이 되려고 달려와 보니 다른 산이 이미 자리 잡고 있어서 실패하였다는 ‘실패한 산 설화’ 등은 모두 국가나 국도(國都)에 관한 풍수 설화의 예이다.
마을 풍수의 대표적인 예는 그 고장이 배 모양으로 되어 있어 돛대를 세우고, 우물을 깊이 파서는 안 된다는 행주형(行舟型) 전설을 들 수 있다. 적선을 해서 복 받는 집터를 얻었다든가, 못 속의 용을 쫓아낸 명당 터에 절을 세웠다는 경주 황룡사(黃龍寺)의 창건설화〔逐龍建寺說話〕 등은 양택 소재에 관한 풍수설화이다.
② 풍수의 능력: 명당을 잘 찾는 풍수, 곧 지사의 신통력에 관한 설화가 있으니, 남사고(南師古)·두자충·박상옥·이서구·호종달·진묵대사(震默大師) 등의 일화가 대표적이다.
이와는 반대로 천하의 명풍수라도 시기심·성급·잘못 판단·교만·공부 미숙 등으로 실패했다는 실수담(예컨대, 남사고가 자기 어머니를 명당에 쓰지 못했다는 九蛇之地 설화)이 있고, 전혀 풍수지리를 모르는 사람이 우연히 명당 터를 잡아 칭찬을 받았다는 우연 풍수 설화도 있다.
③ 응험과 효과: 명당 터에 부모를 모시고 즉시 효과를 본 임시 발복형(臨時發福型)이 있는가 하면, 먼 후손이 명당 덕을 보는 만 시 발복형(晩時發福型)도 있다.
어머니를 묻고 즉시 장가 간 아들 이야기나, 아버지를 명당에 묻고 세 아들이 그로 인해 다 죽었는데, 그 막내아들이 죽기 전(또는 죽은 영혼이) 잉태시켜 놓은 여자로부터 세 쌍둥이를 얻어 가문이 번창하고 출세했다는 고목생화 설화(枯木生花說話, 死子得孫說話)가 그 예이다.
④ 풍수 형성: 풍수 형성에는 어느 곳이 명당 터인가를 지시할 때 산꼭대기의 경우 가뭄에 패는 일이 생기고, 우물 명당〔黃金井傳說〕의 경우 여자인 어머니는 남이므로 동네 우물에 아버지 시신이 들었다고 폭로하여 아버지가 소 또는 말이 되어 등천하기 직전 실패하는 일이 생긴다.
헤엄 잘 치는 아이가 물속에 있는 두 명당 터 중 자기 아버지는 좋은 명당에, 부탁한 사람의 아버지 시신은 다음가는 명당에 쓴 바 임금의 차이가 난 일도 생긴다(朱天子와 李成桂說話).
호랑이가 잡아먹고 버린 사람의 머리가 놓인 곳이 명당 터라 하여 그 후손이 부모를 호식(虎食)당하고도 시신을 찾지 못한 가운데 복을 받는 일도 생기며, 네거리 길에 평토장(平土葬)으로 묻힌 처녀귀신이 오줌 누는 남자의 양물을 보고 만족하여 남자에게 출세나 혼인이라는 선물을 주는 일이 생긴다.
위의 명당 터의 위치와 아울러 지사가 얼마나 훌륭한가에 따라 범안(凡眼)·법안(法眼)·도안(道眼)·신안(神眼) 풍수가 있고, 스승에게 제대로 배웠는가, 교만했는가, 꿈을 꾸어 명당 터를 찾았는가, 실제로 산을 많이 답사(求山)했는가에 따른 지사의 자질 이야기가 있다.
풍수 설화에 나타난 민간의 수용 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명당을 쓰는 것은 행복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이다. 현실적인 불리함을 극복하고 행복인 수(壽, 건강)·부(富, 財)·귀(貴, 出世, 榮華)·다남(多男: 자식 얻기나 배우자 얻기)을 획득하는 것이다.
부족한 조상이 죽어 명당에 묻혀 행복한 후손을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풍수 설화는 죽음과 삶이 교차하면서도 조상과 후손이 하나로 이어지는 생명의 영속 또는 부활 의식을 담고 있다.
따라서 명당에 매장하는 행위는 땅이라는 정적인 여성에 시신이라는 동적인 남성을 결합시키는 성행위(性行爲), 또는 생산적인 행위로 해석할 수도 있다. 머슴 살던 총각이 명당에 부모를 모시고 나서 부자가 되었다거나 과거에 합격했다는 설화를 통하여 현실에서의 열등감을 보상받고자 하는 심리를 찾을 수 있다.
둘째로, 인간의 본성, 곧 진면목이 적나라하게 표출되는 것이다. 남의 묘를 훔쳐 쓰는 투장(偸葬), 권세를 이용해 약자의 무덤을 빼앗는 늑장(勒葬), 이미 폐허가 된 묘를 다시 쓰거나 명당 터를 돈 주고 사서 쓰는 것, 부모의 시신 중 목만 보자기에 들고 다니는 명당 찾기가 있다.
또, 중국인 풍수가 달걀로 시험하는 명당 터를 가로채 쓰는 것(金德齡傳說), 출가한 딸이 친정아버지를 쓰려는 묘에 물을 부어 못쓰게 하고 시아버지를 모시는 딸의 묘 뺏기, 형제간의 명당 바꾸기도 있다.
각기 자기만 잘 되는 명당 터를 잡아 달라고 풍수에게 부탁한 자식들의 욕심, 풍수가 나쁜 대접을 받아 그 집이 망하게 하려고 잡아 준 곳이 사실은 좋은 명당 터였고, 그 반대로 호의에 보답하려고 잡아 준 곳이 도리어 패가망신 터였다는 이야기 등에서 인간의 한계와 운명과 우연의 힘이 드러난다.
셋째로, 현상에 대한 합리적인 해명으로, 노고포 손(老姑抱孫)·기오탁 시(飢烏啄屍)·오룡쟁주(五龍爭珠)·매화 낙지(梅花落地) 등 여러 가지 형국을 띤 지형을 설명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한 설화이다.
산의 혈과 맥을 중국인 이여송이나 호종단(胡宗旦), 일본인 또는 관군(官軍)이 잘라 그 고장에 인물이 나지 않는다는 숱한 단혈설화(斷穴說話), 특정한 지형 때문에 장군·충신·문장가·부자 또는 역적이 태어난다는 운명적인 인물 출생 이야기가 있다.
또, 두 장소가 서로 상극이므로 일정한 조처를 한다는 상극 대응 설화(서울 광화문의 해태는 관악산의 불기운을 억제하기 위해 있고, 지방에서 지네산이 있으면 닭산이 있어야 한다는 것 등) 등이 그 예이다.
풍수 설화에는 금방 죽은 진 송장을 합장하지 않는 등의 금기가 있으며, 장식하는 행위(나무 심기, 비석 세우기), 명당 터를 얻기까지 두는 초분(草墳)이나 새로이 옮기는 이장(移葬) 등 장례 의식과도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풍수 설화는 한국인의 행복관·보상심리·신앙심·생명과 부활 의식, 건강하고 평안한 주거 환경, 조상 숭배, 가문의 혈통 사고 등에서 부정적으로만 대해서는 안 될 설화 유형이다.
≪참고문헌≫ 韓國說話文學硏究(張德順,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韓國口碑傳說의 硏究(崔來沃, 一潮閣, 1981), 韓國風水思想(崔昌祚, 民音社, 1984), 朝鮮の風水(村山智順, 朝鮮總督府, 1931), 백제문화 전역 상례 풍습과 풍수 설화 연구-호서 호남을 중심으로(이수봉, 서울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6), 풍수설의 국문학적 수용 양상 연구(강중탁,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韓國의 風水說話硏究(張長植,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한국풍수 설화 연구(손정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
한국인의 땅, 풍수
우리 조상들이 살고 싶어 했던 편안한 곳,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고 언제나 햇볕이 들며 찬바람을 피한 밝고 따뜻한 곳이 바로 풍수의 이상향이었다. 이런 곳에 삶터를 일구어 자연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살아가고자 했던 선인 들의 염원과 실천을 풍수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그래 서 의미가 있다. 풍수는 조상들이 오랫동안 쌓아온 땅에 대한 깨달음과 자연에 대한 세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삶의 지혜다. 풍수는 기(氣)라는 우주적 환경의 흐름에 따르면서 지리, 기후 등의 환경 요인과 인간의 거주 환경을 어떻게 조화롭게 할 것인가에 관심을 둔다. 조상들은 풍수에 따라 땅의 기[ 氣]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헤아리고, 이에 맞춰 삶의 터전을 잡고 가꾸어 왔다. 그것은 이상적인 터전을 찾는 것, 혹 은 현실 속에서 이상향을 가꾸어 가는 것이기도 했다. 삶의 터를 정하고 가꿀 때 가장 중요한 조건은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이다. 그것을 위해 기본적으로 터의 건강함이 전제되어야 하며, 농경 시대에 경제적 풍요를 위해서는 토지의 비옥함이 필수적이었다. 건강한 터는 어떤 곳일까? 먼저 공기가 적절히 통하면서도 바람을 피할 수 있는 곳이라야 한다. 이를 ‘바람을 갈무리한 ’ 곳이라고 한다. 그래서 터를 잡을 때는 산의 맥이 어디서 뻗어와 어디로 흘러가는가, 그 산이 어떤 형태를 취하는가를 따져 그 산의 어느 부분에 터를 잡고 어느 방향으로 기댈 것인가를 결정한다. 물길도 중요하다. 농경 사회에서는 산과 산 사이를 흘러내린 물길 가로 넓은 농토가 펼쳐지면 더없이 좋은 삶의 터전을 마련할 수 있다. 그래서 물길의 흐름과 형태가 어떤지를 세심하게 따지며 ‘물을 얻을 수 있는’ 곳 을찾는다.
‘풍수’라는 말은 바로 이렇게 ‘바람을 갈무리하고 물을 얻는 다’라는 말에서 나왔다. 흔히 우리는 산과 물을 별개의 것으로 보는데, 산이 있어야 물길이 만들어진다. 산과 물은 땅의 짜임새를 이루는 바탕이 된다. 그리고 인간은 이 산과 물의 질서와 조화한다. 이른바 명당이라는 것은 바로 이렇게 산과 물이 짜임새 있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땅을 말한다. 야트막한 산이 마을 뒤에 우뚝 솟고 그 아래 산발치에 안기듯이 들어 선 마을, 그리고 마을을 휘감듯이 굽이쳐 흘러가는 앞 개울, 이 평범해 보이는 풍경이 풍수의 이상향, 명당의 전형이다.
생기 가득한 사람과 삶터를 찾아
땅의 성격을 읽어 내고, 땅과 인간이 어떻게 더 나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가를 살피는 풍수는 서구적 지리 전통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하고 정교한 이론 및 실천 체계다. 풍수의 논리 구조는 인간이 생명력의 흐름인 땅의 생기를 받아 사람과 삶터의 생명력과 건강을 유지하려는 데 주력하는 것이다. 땅은 저마다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산이 많은 곳, 물이 크게 흐르는 곳, 들이 너른 곳, 지대가 높거나 혹은 낮은 곳, 덩치가 크고 높은 산이 많은 곳, 올망졸망하고 야트막한 산이 많은 곳. 풍수에서는 땅의 성격을 서로 다르게 만드는 것 은 지기, 즉 땅기운인 것으로 본다. 바람과 물은 이 땅기운을 운반하는 존재이며, 빛은 바람을 만들고 물을 끊임없이 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바람과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산이다. 바람이 산을 타거나 산에 막히는가 하면, 물이 산과 함께 흐르기도 하고 산을 막아 멈추게도 한다. 명당에서도 가장 좋은 생기가 집중되는 장소가 혈이다. 이 혈의 생 기가 바람과 물의 흐름을 타 고명당과 그 주변으로 퍼져나가 땅과 사람의 건강한 만남과 삶을 보장해준다.
수려하고 단정한 주산에 의지하여 마을이 들어섰다. 다정하게 마을을 맞이하듯 에워싼 양쪽(청룡, 백호)의 부드러운 산들과, 안온한 느낌을 주며 마을 앞을 가만히 가려주는 안산, 멀리서 깨끗하고 빼어난 자태로 마을을 지켜주는 조산이 마을 주위의 기 본적 지세를 형성했다. 그리고 마을 앞을 휘감듯이 굽이쳐 흐르는 개울이 마을 한편에서 시작되어 흐른다. 그 물길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마을 사람들이 오가고, 그 개울 주위의 농토에 의지해 논이나 밭을 일구며 살아간다. 이 모습이 우리의 전형적인 마을이었다. 이 공간 구성 형태는‘바람을 갈무리하고 물을 얻은’ 땅, 즉 이상적인 명당으로 그 사는 사람들에게 마음의 안정과 육체적 건강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어머니 땅의 품으로 돌아가리
풍수에서는 땅을 인간에게 생명력을 베푸는, 살아 있는 생명체로 여긴다. 어머니와 자식이 같은 몸을 나누듯 땅과 사람은 한 몸으로 연결되어 있다. 어머니가 자식을 돌보듯 땅이 사람을 돌보고 생명을 베푸는 것이 풍수에서는 당연한 일이다. 땅이 생명을 유지시키고 끊임없는 자연의 순환 과정을 담아내는 것을 잘 간파한 우리 선인들은 땅에 대해 대단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다. 길을 내거나 우물을 파거나 건축물을 지을 때도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이는 땅에 대한 고마움과 경건함을 표현하는 것이었지 결코 헛된 미신이 아니었다.
한의학이 소우주인 인간의 몸에 천지의 구조를 도입하여 논리를 전개하듯, 풍수는 어머니와 같은 땅에 사람 몸의 이치를 적용한다. “대개 풍수사가 땅의 맥을 살피는 것과 의사가 사람 몸의 맥을 살피는 것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다. 훌륭한 의사는 맥의 음양을 잘 살펴 약을 조제하고 훌륭한 풍수사는 땅에 있는 맥의 상태를 잘 살펴서 혈을 정하게 되는데 그 이치는 하나다.”이는 송나라 때 주희에게 풍수를 가르쳐 준 채원 정이 한 말로, 풍수와 한의학의 관계를 제대로 대변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대목이 맥의 음양의 살핀다는 말이다. 풍수가 찾으려 하는 좋은 땅은 음양이 조화를 이룬 곳이다.
홀로 이상향은 없다!
물론 풍수 사상이 농업을 위주로 하는 사회에서 나타난 일개 지리관일 뿐이라는 의문을 던질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산업화된 공간이 범람할지라도 사람은 땅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땅 위에서 삶을 꾸려나갈 수밖에 없다. 우리의 심성 깊은 곳에 깔려 있는 풍수적 정서는 환경에 대한 새로운 자각과 실천을 일깨우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땅은 잘리고 쓰러지고 뭉개져, 풍수적 땅이란 설 자리를 잃고 말았다. 개발은 인간이 자연에 손대서 자신을 위한 환경을 만들어 내는 일이고, 문명의 건립은 인간의 목적을 위해 자연을 이용하고 변화시키는 일이었다. 이때 자연은 철저한 이용의 대상, 착취의 대상으로 전락해 버린다. 철저하게 이용하고 이용가치가 떨어지면 철저하게 버리는, 이러한 이용과 버림의 결과가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 바로 환경오염이다. 오염은 인간을 중심에 놓고 땅과 자연을 소유와 이용의 대상으로만 바라본 세태에 대한 보복일 뿐이다. 그리고 그 보복은 너무나 정당하다. 땅은 단순한 지질학적 퇴적물이 아니다. 주변의 야트막한 산은 백두산으로부터 뻗어 나온 산과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물도 지역의 벽을 넘어 상류에서 하류까지 하천 유역 전체가 ‘하나’로연결되어있다. 우리 환경을 구성하는 산과 물이 하나로 연결되어있음을 인식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그 연결을 전체로 인식해야 ‘나 하나’만의 욕망과 이익을 추구하는 생각을 떨칠 수 있다. 풍수 사상은 나만의 명당, 나만의 이상향을 찾을 수 없다고 가르친다. 명당은 그 자신이 홀로 명당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주변의 건강한 산과 물이 있어야 비로소 명당을 만든다. 마찬가지로 내 집만이, 내 삶만이 홀로 이상적일 수 없다. 주변의 환경이 맑지 못하면 나도 맑아질 수 없기 때문이다. 나와 주변이 연결되어있다는 사실을 깊이 자각할 때 다 함께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대동의 삶터를 건설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인 관계를 회복한 이상적인 세상, 그 새로운 삶의 지평을 말이다. [필자 : 성동환 | 부산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지리학과 대학원을 거쳐 대구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에서 사찰 입지를 풍수적으로 해석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외국어대, 동아대 강사를 거쳐, 최초로 개설된 경산대 풍수지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풍수학의 학문적 기반을 다지는 연구와 교육에 힘쓰고 있으며, 지은 책으로 『우리 땅 풍수기행』(공저) 등이 있다.(출처 : 문화와 나, 2003년 겨울)]
^(^, 창작 참고 자료로 보세요.
응원은 모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긍정의 힘으로 파이팅!
'단편과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웅은 어떤 사람인가? (0) | 2022.06.14 |
---|---|
아내와 남편의 표현 (0) | 2022.06.14 |
효행설화(孝行說話) (0) | 2022.06.10 |
행운도 노력의 결과이다. (0) | 2022.06.07 |
작품과 좋은 말 (0) | 202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