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와 교육

사진으로 보는 해방과 6.25 전쟁

썬라이즈 2022. 7. 15. 22:06
728x90
반응형

자연사랑은 아이들 미래입니다.

가슴 아픈 역사 속의 모습들

(제공 : 우담 김병윤 장군 /서봉 이도필)

사진으로 보는 6.25전쟁

보내드리는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 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N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이고 날짜와 장소는 사진 뒷면에 있는 영어 원문을 따랐다고 합니다. 사진 설명은 "오마이뉴스"의 박도 기자가 부친 것입니다. 박도 기자가 발표한 화보는 30개로 되어 있고 화보의 발표 순서가 사진 촬영 날자 순이 아니어서 당시 사정을 이해하는데 혼란이 생기는 흠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사진의 순서를 사진 촬영 일자 순으로 재편집하여 여러분에게 보내드립니다. 작년 6월에도 이 사진을 보내드렸는데 못 본 분들이 있고, 작년에 보았지만 다시 한번 보고 6.25 때를 되새기는 것도 뜻깊은 일이라고 생각되어 15회에 걸쳐 보내드리겠습니다.

고 영 근 드림

6.25 이전의 주요 기록


▲ 1945. 9. 9. 미군이 서울에 입성하고 있다.

 

▲ 1945. 9. 9. 미군들이 서울시민들의 환영 인파에 싸여 있다


▲ 1945. 9. 9. 조선총독이 총독부 홀에서 미군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항복문서에 서명하고 있다.


▲ 1945. 10. 12. 부산항 부두에서 일본군인들이 본국으로 떠나기 전 미군들에게 철저하게 검색을 당하고 있다.


▲ 1946. 1. 16. 미소공동위원회에서 소련측 대표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1947. 5. 25. 개성 인근의 38선 미군 초소, 그때만 해도 요란한 철조망은 없었다.


▲ 1948. 5. 8. 다가올 5. 10 총선거를 앞두고 경찰들이 선거 방해를 염려하여 죽창을 거둬들이고 있다.


▲ 1948. 5. 10.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5. 10 총선거에 유권자들이 투표하고 있다


▲ 1948. 5. 10. 선거 방해 사범으로 체포된 5인, 맨 왼쪽 여인은 장택상을 암살하려다가 체포되었다고 기록돼 있다.


▲ 1948. 5. 31. 국회 개원식 날 국회 의사당 앞에서 서북청년단들이 소련 철수를 주장하는 데모를 하고 있다.


▲ 1949. 3. 제5차 소련 최고회의에 참석한 김일성(오른쪽 끝)과 박헌영(김일성 바로 옆 안경 쓴 사람)


▲ 1949. 9. 6. 미군사고문단이 국방경비대에서 기관총 훈련을 지도하고 있다.


▲ 1950. 6. 18. 6.25 한국전쟁 발발 일주일 전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 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덜레스 오른쪽 신성모 국방장관).


▲ 1950. 6. 18. 미 국무장관 덜레스 일행이 38 접경 지대를 살피고 있다.

6.25 / 1950년 7월 5일부터 7월 26일까지


▲ 1950. 7. 5. 한 국군 용사의 무덤.


▲ 1950. 7. 5 국군 헌병이 인민군을 붙잡는다.


▲ 1950. 7. 6. 전란으로 잿더미가 된 평택역.


▲ 1950. 7. 7. 기마대 행렬.


▲ 1950. 7. 7. 전란 중의 천안 시가지


▲ 1950. 7. 7. 미군이 포항으로 상륙하고 있다.


▲ 1950. 7. 7.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 파병 안을 통과시키고 있다.


▲ 1950. 7. 10. 조치원 부근. 미군 트럭이 북한군 폭격기가 떨어뜨린 폭탄에 불타고 있다.


▲ 1950. 7. 16. 금강교 폭파 장면.


▲ 1950. 7. 21. 불타고 있는 대전 시가지.


▲ 1950. 7. 24. 경북 예천, 평화롭던 마을에 전차가 들어오면서 온 마을이 불바다가 된다.


▲ 1950. 7. 한미 수뇌부들이 환담하고 있다(왼쪽부터 조병옥 내무장관, 신성모 국방장관, 무초 주한 미대사, 임병직 외무장관, 워커 주한 미군 사령관).


▲ 1950. 7. 26. 맥아더 장군이 전선을 시찰하는 중, 종군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 워커 장군.

반응형

6.25 의 노래!

"아! 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날을! "

아직은 그 날을 잊을 때가 아닙니다.

자연사랑은

아이들 미래이자 희망입니다.

충!

728x90
반응형